to 부정사와 동명사를 취하는 동사의 특징 English

to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들의 공통점

 - 뭔가를 하도록 촉구하는 뜻을 가지고 있는것입니다.

 - i told him to go. 난 그에게 말했다.. 가도록,. 

   ==>  마치 꼭 그래야 할것처럼.   안가면 안될것처럼. 이런식으로,. 뭔가 강한 압력을 주거나,.

          이런것들이,. 희망을 나타낸다거나 (hope), ~~하도록 제촉하거나(courage). ~하고 싶다거나,. (like, want) 등..

          다시,. "뭔가를 해야할것같은,. 혹은 그렇게 하고자 하는 강한 바램"  정도의 동사는 투부정사가 많이 와요.

    

  

동명사를 데리고 오는 동사의 특징
 
 - 동명사라는것이 일반적인 사실을 논하는거거든요.  일반적인 상황을 논할때는 동명사가 주로 옵니다.

 - i enjoy playing .... 

   난 게임하는것을 즐긴다.    뭔가를 게임한다는것은 일반적인 상황입니다.  일반적인 뭐 사실.. 이정도.

   근데,. 이말이 아니라,. "난 게임하고 싶어요"  라고 표현하고 싶으면,.

 - i like to play something.

   여기서 보시면,. 투부정사가 오죠.

   투부정사가 왔다는것은,. 꼭 그렇게 하고 싶은,. 그렇게 해야할것같은,.  느낌이 벌써 들어가 있어요.

 - l like playing something. 
    --> 이것은,.  꼭 그렇게 하고 싶다는 말이 아니라,. 동명사가 왔으니깐,. 동명사적인 느낌으로,. 뭔가를 플레이하는것을
          좋아한다.. 즉 일반적인 사실을 논하고 있는겁니다..  과거에도 그랬고,. 지금도 그렇고,. 아마 미래에도 그렇다는 ...

 - i like to read a book.  --> 난 책 읽고 싶어요.  -- 뭔가를 하고자 하는 강한 바램.  (보통 지금 책 읽고 싶다는 말)

 - i like reading a book. --> 난 책 읽는것을 좋아해요.  -- 일반적은 습관. ( 물론 지금 책 읽고 싶다는 말은 아니죠) 

   ( 물론 정확하게 구별할 필요까지 없을진 몰라도,. 기초개념 잡을때는 알아두시면 좋겠죠. ^^)

    이런 기초문법 개념들이,. 나중에 응용력을 키워줍니다.  
    물론 사실 몰라도 되는건데, 문법공부할때 이런거 배우지.. 언제 배우시겠어요 ? ^^  배우는데 30분도 안걸리는데...

 - try to do somethign.

 - try doing..

 - 이런 차이점도 똑같은 거죠.

 - 첫번째는 꼭 그렇게 해야할것처럼.. 시도..한다는것이고,.  두번째는,. (되거나 말거나),. 그냥 한번 해본다는. 

 - 그래서,.

 - my hobby is doing.. --> 요럴때는 동명사가 주로 와요.  의미상 동명사가 더 어울리기 때문이죠.

 

 - 간혹 주어로 투부정사가 오는경우가 있는데,. 이건 대게 강조?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. 

 - 투부정사 자체에 강한 바램/ 의지.. 가 들어가는것이기에,.  그런것같네요.

 - 그래서,. it is .... to.. 이런것들도,. 가주어 it 을 쓰고,. 뒤에 투부정사가 오는데,. 투부정사 자체에도 강조하는듯한 효과가 있는..

 - 다른것들도.. i am sorry to.. 

 - 유감이다...  투부정사 이하를 해야한다는것이..   --> 투부정사의 느낌..
 - i am sorry to say that.... 오버해서 느낌을 살려보자면,.

   뭔가를 말해야 하는것이,. 뭔가를 말할수 밖에 없는것이,.. 미안해..  이런게 투부정사 느낌이라는것이죠.

 - it's nice to meet you.   당신을 만나야만 했음이,.  좋아요.   --> 투부정사 부분을 강조해서 해석..

 

   ※ 이런 차이로 인해서,. 투부정사는 미래지향적이고,. 동명사는 과거 지향적이라는 말로 생긴겁니다.

     
 - i remember to go.

 - i remember going.

 

   근데요,. 그렇게 보시지 마시고,.

   두번째 문장은 동명사는,. 일반적인 상황을 논한거예요.

   기억하는데,. ~한것을 기억한다.. 라는 말로,. 당연히 과거가 될수밖에 없죠. 

   미래에 뭔가를 했는데,. 그것을 기억한다 라는 말은 당연히 아니겠죠.

 

   첫번째 문장은,.

   난 기억한다.. 가야한다는것을,.

  

   이런식으로 보시면 되요..

   의미차이를 느낄려고 하시면,.  설상 문제집에서 찍더라도^^  맞출확률이 한 70% 이상 나오지 않을까 하네요.

 

   간혹 혼동스러운 단어들이 있는데요.

   doubt  // suspect

   doubt ~ing

   suspect to do..

   일단 암기하셔야 하는데요.

 

  첫번째것은,.doubt 동명사의 느낌 그대로..

   ~인것을 의심한다.. 동명사라는 부분에 대해 의심한다 .. 라는 말로,. 동명사부분을 믿지 않는다.. 요련느낌이.

 

  suspect to do.

  투부정사니깐요. 그 느낌 그대로,. 투부정사일것이라고,. 의심하다..  이말은,. 투부정사일것이라고 믿는다..

  그래서 전혀 반대의 뜻이 되어버립니다.

 

  deny 부정하다...    딱 이렇게만 보면 투부정사일것같지만,.

  deny ~ing 입니다. 

  여기서 보시면,.. 투부정사가 아니라,. 동명사라는것은,.. 

   "~해야한다는것을 부정하다" - 이런 투부정사의 느낌이 아니라,.

   "일반적인 상황,. 어떤 현실,." 에 대해서 부정한다.  라는 말이죠. 

 

  구별이 되시나요?

 

  결국,. 물론 기초개념을 잡으신 이후에도,.  단어를 알아야 적용이 됩니다.

  그 단어가 어떻게 쓰이는지를 알아야 문법을 완벽하게 적용시킬수가 있죠.   

  그래서 문법공부는 따로해야하지만,. 역시 단어공부도 같이 해야합니다.. 

  

  근데 꼭 이런법칙이 100% 적용되는것은 아닙니다.. 제생각엔 거의 95% 정도인데,..

  예외가 있는것같아요.

  cease to do..    딱보면,. stop to do.. 하고 비슷한뜻일것같은데..

  cease to do 는,.. 여기의 투부정사는,. 동명사적인 느낌인것같아요.,

  cease to do = stop ~ing.   이런 희박한,. 경우를 제외하고는,.

  사전에도 cease 는 그런식으로 잘 안쓰인다고 되어있네요. 

 

  마지막으로 예문은 문법책 참고하시고,.

  이해가 안가는부분은,. 사전을 보시면,. 왜 투부정사가 오는건지 동명사가 오는건지,. 살펴보세요. 

 

  suggest 같은 경우에,..  ~뭔가를 제안하다.. 라는 의미로,.. "뭔가를 촉구하는동사이므로 투부정사가 올것같은 느낌이 들지만,.  

  naver 사전 보시면 그부분에 대해 설명을 해놓았습니다.

  투부정사의 느낌이 아닌,. suggest ~ing. . -- 동명사적인 의미로,. ~하는것을 한번 말해보다.. 라는 의미로 쓰이게 되는것이죠.


덧글

  • 후니 2011/03/29 21:14 # 삭제 답글

    잘읽었습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
  • grace 2014/04/01 20:43 # 삭제 답글

    감사합니다.
  • 감사 2014/05/30 22:10 # 삭제 답글

    잘 보고 갑니다
  • 감사해요 2014/05/31 23:54 # 삭제 답글

    감사합니다 !
  • 감사감사 2014/11/03 06:05 # 삭제 답글

    감사합니다!! 이해잘되네염
댓글 입력 영역